728x90
1. request
: 요청에 대한 정보를 가진 객체
- 클라이언트의 요청 정보를 서블릿으로 넘겨주는 것
2. response
: 응답에 대한 정보를 가진 객체
- 서블릿이 클라이언트에 응답을 보내는 것
3. Print(웹에 출력하기)
1) 웹 페이지에 출력할 수 있는 스트림 열어주기
* 스트림(stream) : 입출력 할 수 있는 객체를 명칭하는 단어
2) 출력스트림 사용하기
출력하여 웹 페이지로 확인해보면
띠용..?하는 글자들이 보인다!
이유는 한글은 인코딩을 잡아주는 게 필요하기 때문이다.
출력스트림 전에 인코딩을 해줘야 한다.
0) 한글 인코딩 잡아주기
: 응답으로 돌려줄 html문서에 대한 인코딩 정보를 정의하는 구간
그리고 확인해보면 한글이 잘 출력된 걸 볼 수 있다.
4. Table 만들어보기 실습
table 태그를 이용해 위와 같은 그림을 만들어보자!
PrintWriter out = response.getWriter();
out.print("<table border=1>");
out.print("<tr>");
for (int i = 1; i < 7; i++) {
out.print("<td>"+i+"</td>");
}
out.print("</tr>");
out.print("</table>");
table 태그 안에 tr 태그를 두고 그 안에 td 태그를 1~6까지 넣을건데,
td 태그 내의 숫자들은 1씩 반복되어 증가하므로 for문을 사용하여 출력되게 한다.
그러면 위와 같은 테이블표가 나오게 된다!
728x90
'JSP&Servlet > 기초정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JSP&Servlet 기초 - JSP (0) | 2023.01.30 |
---|---|
Servlet 기초 - 데이터 전송방식 Get/Post (0) | 2023.01.27 |
Servlet 기초 - 실습, '==' / .equals 차이 (0) | 2023.01.26 |
Servlet 기초 - 데이터 전송(요청)과 응답 (1) | 2023.01.26 |
JSP&Servlet 기초 - Servlet (1) | 2023.01.26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