HTML - CSS/기초정리

CSS 기초 - 선택자와 선언 / 선택자의 종류

줘니(•̀ᴗ•́)و 2023. 1. 5. 19:58
728x90

나는 처음에 CSS도 프로그램을 새로 깔아서 하는 줄 알았다 ㅎ

아예 다른 과목이 아니고 HTML속에서 더 감각 있고 편리한 디자인을 위한 언어라고 부르기는 좀 그런., 기능?!

 

 

 

1. CSS란?

    : 쉽게 말하면 HTML 문서의 스타일을 꾸밀 때 사용하는 것(Cascading Style Sheets)

 

 

* CSS의 기초작성

 

 

→ 스타일은 설정이기 때문에 head 태그 안에 작성

다른 언어이기 때문에 style이라는 태그 내에만 작성

 
 
 

2. 선택자와 선언

 
나 디자인 할거야!
 
- 무엇을?  → 선택자★★
- 어떻게?  → 선언

- 공식 : 선택자{
                선언(속성 : 값;)
             }
 

 

예시) body 태그안에 <h2>주황색</h2>을 쓰고, style 태그 안에 선택자(h2)와 선언작성

h2{
   color:orange;
   background-color: beige;
        }

 

이렇게 글자색과 배경색이 바뀐다..!

 

 

 

3. 선택자의 종류

- 선택자에는 전체선택자, 태그선택자, 클래스선택자, 아이디선택자, 계층선택자, 반응선택자 등이 있다

- 계층선택자는 자손선택자, 자식선택자, 후행선택자, 근접후행선택자가 있는데 그건 다음 포스팅에 올릴거다 !

 

<body>
    <h1>CSS</h1>
    <p>웹페이지를 꾸며주는 스타일 시트 언어</p>
    <ul>
        <li>CSS구조</li>
        <li>CSS선택자</li>
        <li>CSS스타일</li>
    </ul>

    <h1>오늘은 뭐먹지?</h1>
    <ul>
        <li>알배추전</li>
        <li>국수</li>
        <li>돈까스</li>
    </ul>
</body>

 

body 태그 안에 위의 내용을 넣고 디자인을 시작해보자!

 

 

(1) 전체 선택자

:  기호 (*), 모든 요소를 선택

 

 

 

 

(2) 태그 선택자

: 태그이름

 

 

 

 

이렇게 전체 선택자와 태그 선택자를 이용하면 편하게 색을 바꿀 수 있지만,

특정한 요소를 선택하여 바꾸는 건 불가능하다.

 

선택자들을 구분해서 지정해줘야 하는 경우(특정한 요소를 선택하여 바꾸는 경우)는

→ 클래스 선택자와 아이디 선택자를 사용

 

(3) 클래스 선택자

: .클래스이름 점(.)이 중요

 

 

 

이 경우에는 밑에 있는 body 태그 내의 바꿀 부분을 class로 묶기 위해 속성값을 입력해주어야 함!

 

 

이렇게 class를 지정해준 부분만 네이비 색으로 변한 걸 알 수 있다.

 

 

 

(4) 아이디 선택자

: #아이디이름 → #이 중요

 

 

 

이 경우에도  밑에 있는 body 태그 내의 바꿀 부분을 id로 지정을 해주어야 함!

 

 

이렇게 id로 지정한 배경색만 노란색으로 바뀐 걸 알 수 있다.

 

 

 

(5) 계층선택자

는 다음 포스팅에 자세히 ~!

 

 

 

(6) 선택자 가중치

전체~아이디는 밑으로 갈수록 힘이 강해진다!

그래서 아무리 전체가 salmon색이어도 태그나 class, id로 따로 지정된 부분은 salmon색이 아니다.

그걸 가중치라고 표현한다.

 

 

마무리로

정리를 하자면 ~

 

 

728x90